김미희 의원, 청년·중장년층 사회복귀 및 노인 복지 체계 개선 관련 구정질문
김미희 의원은 제281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청년·중장년층의 사회 복귀와 지속 가능한 직업 정착, 노인 복지체계 개선을 위한 구정질문을 실시했다.
김미희 의원은 먼저 청년층 문제를 지적하며, 전국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쉬었음’ 청년이 50만 명을 넘고, 유성구 청년 취업률이 대전시 평균보다 낮은 현실을 강조했다. 이어 지난 제273회 임시회에서 청년 인턴 확대, 역량 강화, ‘나다움 찾기 프로그램’ 운영이 약속됐지만 주민이 체감할 만한 성과는 미흡하다고 지적하며 정책 추진 현황과 성과를 구체적으로 공개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청년과 중장년층의 안정적 사회 복귀와 직업 유지를 위해 ▲맞춤형 직업훈련과 취업 연계 ▲창업 지원 ▲멘토링·심리상담·기업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 직업 정착 인프라 강화 방안에 대한 구체적 계획 제시를 요구했다. 김미희 의원은 “사회 복귀 지원은 단순한 복지를 넘어 유성구 미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노인 복지 체계와 관련해, 김미희 의원은 고령화 속도가 빠른 유성구가 여전히 공급 중심·시설 중심 정책에 머물고 있으며, 기관 간 연계 부족으로 사업 중복과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건강관리, 식사, 여가, 상담 등 기초 지원이 분산돼 있어 어르신들이 통합적 복지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렵다며, 통합 복지 체계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김미희 의원은 “청년과 중장년층, 노인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정책 기반 마련이 필요하며, 투명한 정책 추진과 실행력 있는 대책 제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